2025년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대폭 인상됩니다.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부모들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책을 확대했습니다. 육아휴직 급여, 대체인력 지원금 등 구체적인 변화와 혜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
📌 육아휴직 급여 인상: 월 최대 250만 원
- 기존: 월 최대 150만 원 (25%는 복귀 후 지급)
- 2025년: 월 최대 250만 원 (전액 육아휴직 기간 내 지급)
- 총 육아휴직 급여:
- 기존 12개월 기준 1800만 원 → 2310만 원으로 증가
📌 부부 동시 육아휴직 시 급여 합산: 연 5920만 원
생후 18개월 이내 자녀를 둔 부모가 함께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:
- 각각 연 2960만 원 수령 가능
- 부부 합산 5920만 원 지급
📌 중소기업 지원 확대
- 대체인력 지원금:
- 중소기업에서 육아휴직 근로자를 대체할 인력을 채용할 경우, 정부가 월 120만 원씩 1년간 최대 1440만 원 지원
- 일부 지자체는 추가로 연간 200만 원 지원
- 업무분담 지원금 신설: 육아휴직으로 인한 업무 부담을 덜기 위해 추가 지원
📌 육아휴직 신청 절차 간소화
- 출산휴가 신청 시 육아휴직 동시 신청 가능
- 사업주는 근로자의 육아휴직 신청에 대해 14일 이내 서면 의사를 표시해야 함
- 사업주가 의사를 표시하지 않을 경우, 근로자가 신청한 대로 사용 가능
📌 추가 정책: 고용·산재보험 체납자 정보 공개 강화
- 체납자의 업종·직종 추가 공개로 제도의 실효성을 높임
📖 2025년 육아휴직 제도의 주요 내용
- 육아휴직 급여 250만 원
- 부부 동시 육아휴직 5920만 원
- 중소기업 대체인력 지원금
-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신청 간소화
- 일·가정 양립 지원 정책 강화
이번 정책 변화는 육아를 병행하는 부모들에게 큰 경제적 지원이 될 뿐 아니라, 중소기업의 부담도 덜어주는 제도적 뒷받침을 제공합니다. <자료출처=정책브리핑 www.korea.kr>
25년 바뀌는 정책: 복지제도
2025년은 대한민국 복지제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해로 평가됩니다. 이는 정부가 저출산과 고령화, 경제적 불평등 등 복합적인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대적인 복지 개편을 추진하
mossa.tistory.com
2025년 바뀌는 주요 정책: 최저임금 및 사회보장급여 총정리
2025년 새해를 맞아 달라지는 주요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올해는 최저임금 인상과 함께 기준 중위소득 및 사회보장급여 체계가 크게 변화합니다. 근로자와 복지 수혜 대상자들에게 중요
mossa.tistory.com
새해선물: 안성 구리간 고속도로 개통! 수도권 강남북 연결 교통 개선 기대
2025년 1월 1일 새해 첫날,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안성-구리 고속도로를 개통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이번 개통은 수도권 주요 신도시와 산업단지의 이동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보이
mossa.tistory.com
'산후 도우미' 시어머니는 되는데 친정어머닌 안 돼?…정부, ‘황당 규제’ 손질
산후도우미 정부 지원 ‘민법상 가족’ 받게 돼…다자녀가정 자녀 중학교 우선 배정국민이 뽑은 최고의 황당규제는 시어머니는 되는데 친정어머니는 안 되는 정부 산후도우미 지원사
mossa.tistory.com
겨울철 심근경색(심장마비): 혈전 생기면 너무 위험... 심장근육 죽이는 생활 습관은?
심장근육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(관상동맥)이 혈전에 의해 갑자기 막히면 심근(심장근육)이 죽을 수 있다. 바로 심근경색이다. 사망 위험이 매우 높은 병이다. 이미 고혈압, 당뇨, 고지혈증 등 기
mossa.tistory.com